🎬 상상해봐너는 RPG 게임을 만들고 있어.이 게임에 "용사 캐릭터"를 만들고 싶어.용사에게는 어떤 정보가 있을까?이름레벨체력공격하기근데 그걸 변수로만 관리한다면?String name = "철수";int level = 5;int hp = 100;이거... 캐릭터가 100명 생기면? 👀 지옥이 펼쳐진다.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클래스(class)!클래스는 설계도, 객체는 실제 제품!🏗️ 1. 클래스 만들기public class Hero {String name; int level; int hp; void attack() { System.out.println(name + "이(가) 공격했다!"); }}String name : 이름int level, int hp : 정보(속성)attack() : 행동(기능..
🎬 상상해봐네가 만든 게임 캐릭터가 공격할 때마다이렇게 써야 한다면?System.out.println("검을 뽑는다!");System.out.println("적을 찌른다!");System.out.println("피가 튄다!");System.out.println("경험치를 얻는다!"); 매번 이걸 타이핑한다고? 🤯 손목 나간다 진짜…그래서 등장한 게 메서드!자주 쓰는 코드 덩어리를 이름 붙여서 저장하고,필요할 때마다 한 줄로 호출할 수 있어!🔧 1. 메서드 만들기 (기본형)public static void attack() { System.out.println("검을 뽑는다!"); System.out.println("적을 찌른다!"); System.out.println("피가 튄다!"); System...
🎬 상상해봐네 앞에 사과 5개가 있어.이걸 어떻게 기억할래?사과1 = "빨강"사과2 = "초록"사과3 = "노랑"사과4 = "파랑"사과5 = "검정"이렇게 하나씩 저장할 수도 있어.근데 사과가 1000개면? 🤯그래서 등장한 게 배열!배열은 "같은 종류의 데이터"를 한 줄로 묶어서 저장하는 기술이야.🧊 1. 배열 선언과 사용int[] numbers = {10, 20, 30, 40, 50};이건 “정수 5개를 한 줄로 저장”하는 코드야.💡 특징:int[] → "정수형 배열"이라는 뜻{ } 안에 데이터를 쭉~ 나열이걸 쓰면 이렇게 부를 수 있어:System.out.println(numbers[0]); // 10System.out.println(numbers[1]); // 20⚠️ 배열의 시작은 항상 0..
🎬 상상해봐너는 로봇 ‘루피’를 만들었어.이 루피에게 “팔굽혀펴기 10번 해!”라고 시키고 싶어.그런데 매번 이렇게 코드를 짜면 어떨까?System.out.println("1번!");System.out.println("2번!");System.out.println("3번!");// ... System.out.println("10번!");😩 아... 손가락이 부러질 듯...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반복문!🔄 1. for문 –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라!for (int i = 1; i 해석: “i를 1부터 시작해서, 10까지 1씩 늘리면서 반복해!”int i = 1 : 시작 값 (1부터!)i i++ : 1씩 증가시켜라🧠 그래서 이 코드는 1부터 10까지 출력해!💡 결과:1번 팔굽혀펴기!2번 팔굽혀펴기!...
🎬 상상해봐!너는 지금 AI 집사 ‘자바스’를 만들고 있어.그런데 얘가 상황을 제대로 이해 못 해!네가 “더워!” 하면 에어컨을 틀어야 하고“배고파...” 하면 냉장고 문을 열어야 해.“잘자~” 하면 불을 꺼야지!그럼 어떻게 해야 자바스가 너의 조건에 따라 정확하게 행동할까?바로 조건문!조건문은 "만약 ○○라면, △△해라!" 라고 명령하는 코드야!🧠 1. if문 – 조건이 맞으면 실행해!int temperature = 30;if (temperature > 28) { System.out.println("에어컨을 켜자!");}📣 해석:"만약 온도가 28도보다 크면, ‘에어컨을 켜자!’고 외쳐라!"if는 만약이라는 뜻조건은 ( ) 안에!실행할 내용은 { } 안에!🔁 2. if ~ else – 양자택일!..
🏹 상황극:자, 상상해봐.너는 지금 마법학교에 입학한 초보 마법사야.하지만 마법을 쓰려면 마법 주문(=코드)을 정확하게 외워야 해!한 글자라도 틀리면? 에러가 팍! 💥이번 시간엔 바로 그 마법 주문의 ‘기본 언어’를 배워보는 거야.✏️ 1. 주석 (Comment) – “이건 사람들끼리만 아는 암호야”프로그래머는 가끔 코드 옆에 메모를 남겨.컴퓨터는 이걸 무시하지만, 사람은 이걸 읽고 흐름을 파악하지.👉 사용하는 방법:// 이건 한 줄짜리 주석이야/* 이건 여러 줄짜리 주석이야 */📌 TIP: 나중에 코드를 다시 봤을 때 “이게 뭐였지?” 싶을 때 주석이 생명줄이 돼줘!🖨 2. 출력문 – 세상에 말을 걸어봐! 🌍프로그래밍의 첫 마디, 바로 “출력”!컴퓨터한테 "이거 좀 화면에 보여줘!" 라고 말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