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️⃣ 기본 문법 배우기 – 자바어를 구사하라! 🧙‍♂️✨

🏹 상황극:

자, 상상해봐.
너는 지금 마법학교에 입학한 초보 마법사야.
하지만 마법을 쓰려면 마법 주문(=코드)을 정확하게 외워야 해!
한 글자라도 틀리면? 에러가 팍! 💥

이번 시간엔 바로 그 마법 주문의 ‘기본 언어’를 배워보는 거야.


✏️ 1. 주석 (Comment) – “이건 사람들끼리만 아는 암호야”

프로그래머는 가끔 코드 옆에 메모를 남겨.
컴퓨터는 이걸 무시하지만, 사람은 이걸 읽고 흐름을 파악하지.

👉 사용하는 방법:

// 이건 한 줄짜리 주석이야

/* 이건 여러 줄짜리 주석이야 */

📌 TIP: 나중에 코드를 다시 봤을 때 “이게 뭐였지?” 싶을 때 주석이 생명줄이 돼줘!


🖨 2. 출력문 – 세상에 말을 걸어봐! 🌍

프로그래밍의 첫 마디, 바로 “출력”!
컴퓨터한테 "이거 좀 화면에 보여줘!" 라고 말하는 방법이야.

 
System.out.println("안녕, 세상!");

이걸 실행하면 화면에 이렇게 나와:
안녕, 세상!
  • System.out → 시스템의 출력장치(보통 모니터)
  • println() → print + line = 한 줄 출력!

🔥 이건 코딩의 “소리 지르기”야. 너의 의지를 세상에 선언하라!


📦 3. 변수 – 데이터를 담는 마법의 상자 📦

이제 너만의 마법 상자, 즉 '변수'를 만들어보자!
프로그래밍에서는 숫자나 글자 같은 데이터를 어디엔가 저장해둬야 해.

int age = 25;
String name = "철수";

여기서...

int는 숫자형(정수)
String은 문자열(글자)
=은 값을 저장하겠다는 뜻

이걸 말로 풀면 이래:

“나는 숫자형 상자에 25를 넣고, 문자열 상자에 '철수'를 담겠다!”

✨ 변수 이름은 자유롭게 지을 수 있지만:

  • 숫자로 시작하면 안 돼!
  • 띄어쓰기 안 돼!
  • 예약어(int, class 등) 사용 안 돼!

🎯 예제: 내가 코딩한 첫 번째 정보카드

public class Main {
	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	String name = "소영";
        int age = 30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이름: " + name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나이: " + age);
    }
}

실행 결과:

이름: 소영
나이: 30

여기서 +는 문자열을 이어주는 접착제야!
코드 한 줄로 너의 정보를 ‘디지털 카드’처럼 만들어버릴 수 있지!


💥 마무리 요약 – 너도 이제 자바어 구사자!

  • 주석은 사람을 위한 메모
  • 출력은 세상에 외치는 문장
  • 변수는 정보를 담는 상자

이 세 가지만 알아도, 벌써 너는 프로그래머의 첫 말을 배운 거야.
한글도 ‘가나다’부터 시작했잖아?
코딩도 “System.out.println”부터 시작이야.


다음 시간엔, 드디어!
**조건문(만약에~라면!)**을 배운다.
세상은 "조건"으로 이루어져 있어.
"만약 비가 온다면 우산을 챙겨!", 바로 그 로직을 자바로 구현하는 법을 알려줄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