🎬 상상해봐
네가 만든 게임 캐릭터가 공격할 때마다
이렇게 써야 한다면?
System.out.println("검을 뽑는다!");
System.out.println("적을 찌른다!");
System.out.println("피가 튄다!");
System.out.println("경험치를 얻는다!");
매번 이걸 타이핑한다고? 🤯 손목 나간다 진짜…
그래서 등장한 게 메서드!
자주 쓰는 코드 덩어리를 이름 붙여서 저장하고,
필요할 때마다 한 줄로 호출할 수 있어!
🔧 1. 메서드 만들기 (기본형)
public static void attack() {
System.out.println("검을 뽑는다!");
System.out.println("적을 찌른다!");
System.out.println("피가 튄다!");
System.out.println("경험치를 얻는다!");
}
메서드 이름은 attack
이제 이걸 부르면 공격이 시작됨!
📞 2. 메서드 호출하기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attack(); // 여기서 부르면 위 코드들이 실행됨!
}
출력:
검을 뽑는다!
적을 찌른다!
피가 튄다!
경험치를 얻는다!
이제 한 줄로 전투가 끝난다! 🗡️
🎯 3. 메서드에 값 전달하기 (매개변수)
public static void greet(String name) {
System.out.println("안녕, " + name + "!");
}
greet("철수"); // 안녕, 철수!
greet("영희"); // 안녕, 영희!
- String name은 메서드에 넘겨주는 값
- 메서드를 더 유연하게 만들 수 있어!
🔙 4. 메서드에서 값 돌려주기 (return)
public static int add(int a, int b) {
return a + b;
}
int result = add(3, 5);
System.out.println("합계: " + result); // 합계: 8
- int는 반환형(return type), 결과값을 돌려줄 때 사용
- return은 “이 값을 넘길게!”라는 뜻
🧠 정리해보자!
구성 요소예시설명
선언 | public static void sayHi() | 메서드 만들기 |
호출 | sayHi(); | 메서드 사용하기 |
매개변수 | greet(String name) | 값을 전달받음 |
반환값 | int add(int a, int b) | 결과를 되돌려줌 |
return | return a + b; | 값을 돌려줌 |
🧪 실전 예제 – 계산기 만들기
public static int multiply(int x, int y) {
return x * y;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result = multiply(7, 6);
System.out.println("곱셈 결과: " + result); // 곱셈 결과: 42
}
🧙♂️ 메서드는 마법 같은 기술!
- 중복 코드를 없애고
- 코드를 읽기 쉽게 만들고
- 원할 때만 실행 가능하게 만들어줘
즉, 내 코드에 이름을 붙여서 부릴 수 있는 기술!
너만의 “스킬북”을 만들어가는 느낌이지! 🧩📘
다음 8단원에서는…
진짜 OOP의 시작! **클래스(class)**와 **객체(object)**의 세계로 들어간다.
이건 마치 프로그래밍 세계에서 생명체를 창조하는 기술!
사람, 몬스터, 자동차, AI 집사 전부! 다 객체지!
'IT > java 코딩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️⃣ 생성자 – 객체 탄생의 순간을 다루는 마법! 🎩✨ (0) | 2025.04.14 |
---|---|
8️⃣ 클래스와 객체 – 코드로 생명체를 만들자! 🧬🚀 (0) | 2025.04.14 |
6️⃣ 배열 – 정보를 줄 세워 다루는 기술! 📦📦📦 (0) | 2025.04.14 |
5️⃣ 반복문 – 기계에게 무한 반복을 시켜라! 🔁🤖 (1) | 2025.04.14 |
4️⃣ 조건문 –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려라! 🧑✈️💡 (2) | 2025.04.14 |